티스토리 뷰
10월 26일 만성B형간염 치료제의 급여 기준 변경 안을 발표했습니다.
두 가지 항바이러스제를 쓸 때 현재 하나의 약만 보험적용하는 것을 두 가지 약 모두 보험급여 한다는 내용입니다.
내성이 생긴 환자의 항바이러스제 병용투여는 현재 만성B형간염 치료의 표준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하나만 보험적용 되어 환자 부담이 커집니다. 예를 들어 지금처럼 한 가지 약만 보험적용 되면 제픽스와 헵세라를 함께 썼을 때 약값이 월 102,924원입니다. 그러나 두 가지 약이 모두 보험적용 되면 월 55,223원이 됩니다. 1년이면 약 57만원 차이가 납니다.
보다 비싼 약들인 바라크루드1mg과 헵세라를 함께 쓰면 지금은 월 174,453원입니다. 둘 다 보험적용이 되면 월 93,267원이 됩니다. 한달이면 81,186원이 적게 들고 1년에 97만원 정도가 줄어듭니다.
작년과 올해 제픽스와 헵세라 복제약이 나오면서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헵세라는 거의 절반 가격이 되었습니다만 생각만큼 환자부담이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그때마다 부담이 줄려면 두 가지 약을 먹을 때 모두 보험적용이 되어야한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번 고시로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
먹는 항바이러스제는 1999년 제픽스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1년만 보험적용이 되었고 제픽스 가격도 비싸(정당 5,000원) 1년만 복용하고 중단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더 많은 내성환자가 생긴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2004년 헵세라가 나와 제픽스 내성환자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만 제픽스 내성에서 헵세라 사용은 헵세라 내성 가능성도 높입니다. 헵세라로 처음 치료를 시작하면 내성이 잘 안생기지만 우리나라는 그렇게 처방할 수 없었습니다. 2006년 경부터 제픽스 내성에 제픽스와 헵세라를 함께 쓰는 것이 헵세라 내성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 이 두 약을 함께 쓸 수 있게 된 것은 2009년이었습니다. 그 전까지는 함께 쓰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비용 부담 때문에 한 가지 약을 쓴 환자들은 또 내성이 더 쉽게 생길 수 있었습니다.
이번 고시가 그대로 시행되어 두 가지 약을 모두 보험적용 받는다면 지난 13년 간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 만성B형간염 치료의 보험급여 문제 대부분이 해결됩니다. 물론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만 가장 큰 변화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합니다.
만성B형 간염 치료제 보험급여 기준 주요 변화
1999년 - 제픽스 출시 보험급여. 급여 기간 1년
2004년 2월 19일 - 헵세라 허가
2004년 10월 1일 - 헵세라 보험급여. 급여 기간 1년.
2004년 8월 9일 - 제픽스 급여 기간 2년으로 연장
2005년 3월 - 페가시스 허가(비급여)
2005년 9월 1일 - 제픽스 급여 기간 제한 삭제
2005년 12월 15일 - GOT, GPT 100 이상 보험급여 되던 것을 80으로 낮춤,
헵세라 보험급여 기간 2년으로 연장.
2006년 5월 29일 - 바라크루드 허가.
2006년 11월 13일 - 레보비르 허가.
2006년 11월 27일 - 세비보 허가.
2007년 1월 1일 - 바라크루드 보험적용. 급여 기간 1년.
2007년 2월 1일 - 제픽스에서 헵세라로 교체시 3개월간 병용 투여를 인정(하나만 급여).
헵세라 보험급여 기간 2년6개월로 연장
레보비르 급여 등재. 급여 기간 1년.
2007년 3월 1일 - 헵세라와 바라크루드1mg의 총 투약 기간 2년 6개월로 제한.
2007년 6월 1일 - 페가시스 보험급여. e항원 양성 24주, e항원 음성 48주.
2007년 11월 1일 - 헵세라, 바라크루드1mg 보험급여 기간 2년9개월로 연장
2008년 1월 1일 - 헵세라, 바라크루드 보험급여 기간 3년으로 연장. 레보비르 급여 기간 2년으로 연장.
2008년 5월 1일 - 레보비르 급여 기간 3년으로 연장.
2009년 1월 10일 - 제픽스와 헵세라 병용투여를 3년간 인정(하나만 급여)
내성에서 헵세라 사용시 AST, ALT기준 삭제.
헵세라, 바라크루드 3년이상 투여할 때 3,323원까지만 급여.
2009년 9월 1일 - 항바이러스제 병용 투여 인정.
2009년 12월 1일 - 세비보 보험급여. 급여 기간 2년.
2010년 7월 1일 - 헵세라 복제약 출시.
2010년 10월 1일 - e항원 음성 만성B형간염의 HBV DNA기준을 104copies/mL로 낮춤.
간경변과 간암이 있을 때는 AST, ALT기준을 정상 상한치 이상으로 낮춤.
헵세라, 바라크루드, 레보비르, 세비보 보험급여 기간 삭제.
2011년 9월 - 비리어드 허가.
2012년 9월 4일 - 제픽스 복제약 출시.
2012년 12월 1일 - 비리어드 급여 (예정)
'간질환 > B형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이 완치된 후 발생하는 간암 (0) | 2017.04.21 |
---|---|
아직 해결되지 않은 급여 문제들과 언제부터 보험적용이 될까? (0) | 2012.11.22 |
항바이러스제 병용투여가 급여될 예정입니다 (0) | 2012.11.22 |
SS501 김규종. B형간염으로 공익근무. (0) | 2012.06.08 |
모델 이파니씨 인터뷰로 본 B형간염수직감염과 모유수유 (0) | 2012.05.09 |
어느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부끄럽다'는 기고 (0) | 2012.01.06 |
- Total
- 1,042,379
- Today
- 53
- Yesterday
- 97
- 간경화
- 윤구현
- 백신
- 아데포비어
- 고지의무위반
- 하브릭스
- 간사랑동우회
- 클레부딘
- 생명보험
- ING생명
- A형간염
- 간경변
- 세비보
- C형간염
- 대한간학회
- 바라크루드
- 간염
- 간경변증
- 손해보험
- 민영보험
- 넥사바
- 편강세한의원
- B형간염
- 제픽스
- 엔테카비어
- 항바이러스제
- 간암
- 헵세라
- Nexavar
- 레보비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