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글에서 2007년 간사랑동우회 회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의료기관 이용 만족도를 말씀드렸습니다. 2010/07/07 간질환 환자들이 원하는 병원은? 간단히 정리하면 간질환 환자들은 현재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진료는 만족도가 높았고 주치의에 대한 신뢰도 컸습니다. 그러나 병원을 이용하는 물리적인 조건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습니다. 병원이 멀고, 일상생활 때문에 이용하기 어렵고, 주치의는 바빠 보인다고 답을 했습니다. 좋은 의사를 만나기 위해 시간과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는 것이죠. 진료의 질이 높고 이용하기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의료기관은 간질환 환자 뿐 아니라 모든 환자들이 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만성간질환은 이런 필요가 더 큽니다. 만성B형간염은 1999년 제픽스가 나온 이후 치료의 패러다임이 ..
2007년 간사랑동우회에서는 “간질환 환자의 의료기관 이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전체 결과는 간사랑동우회 자료실에도 올리지 않았는데 이번에 올렸습니다. 여기에도 첨부했습니다. 설문조사의 주 내용은 현재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만족도와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설문에 답을 주셨습니다. 총 919명이 응답해주셨습니다. 응답자는 남성이 74%로 더 많았습니다. 응답자 대부분은 B형간염무증상보유자나 B형간염환자분들이었습니다. 나이는 20-40대가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응답자의 절반가까이는 대학병원을 다니고 있었습니다. 만족도을 알기 위해 10가지 항목의 질문을 했습니다. 그중 “나의 주치의는 내 말을 경청하며 존중한다”와 “나의 주치의는 나를 ..
천안함 사건때문에 남북관계가 좋지 않습니다. 그런 영향인지 며칠전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되는 물품 몇 가지의 북한 반출을 통일부가 금지했다는 기사가 보도 되었습니다. 이중에는 B형간염백신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사 - 통일부, 북 어린이용 간염백신 반출 불허. 한겨레신문. 2010-5-18 한국과 국제단체들이 B형간염백신을 북한에 지원하는지는 몰랐습니다. 전에 일부 제약회사에서 B형간염백신 지원하는 것에 대해 저에게 의견을 물은 적이 있기는 했습니다만 북한에 B형간염백신을 지원하는 것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었거든요.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는 냉장보관이 필요한 백신이 대도시가 아닌 지역에 보급될 수 있는지... 라고 합니다. 냉장고가 없는 지역들이 있고 심지어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안 ..
이 글은 2009년 12월 22일 간사랑동우회에 올린 글입니다. 블로그에 편강세한의원에 대한 글을 쓰면 모두 '명예훼손'으로 신고하여 글이 차단당했기 때문에 블로그에는 싣지 못했습니다. 현재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의 요청으로 차단된 글 가운데 하나는 복원되었으나 하나는 아직도 복원되지 않았습니다. 며칠 전 간사랑동우회에 자신의 검사결과를 올리신 분이 계셨습니다. s항원과 s항체가 모두 양성입니다...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에서는 이런 결과를 보고 B형간염이 완치되어 s항체가 생겼다고 주장을 했어요... 이렇게 말이죠... 표1을 보세요.. s항체는 10IU/L 이상이 나와야 양성이라고 보는데요... s항원이 높은 상태에서 s항체가 10IU/L이상 나오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두번째는 s항체가..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 원장 김종철이 간사랑동우회 총무 윤구현과 코리안헬스로그 발행인 양광모, 박기호내과의원 원장 박기호를 상대로 고발한 명예훼손 사건에 대해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서 2010년 4월 23일 '혐의없음(증거 불충분)'처분을 내렸습니다. 즉 명예훼손이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 측에서 항고와 재항고를 할 수 있습니다만 이번 고소에서 제시하지 못한 증거가 있지 않는한 번복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검찰에서 불기소 이유도 보내왔습니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만 정리하면 저희 쪽(저와 코리안헬스로그 발행인 양광모 선생님, 박기호내과 원장 박기호 선생님)은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 대한간학회의 '만성B..
B형간염보유자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은 최소 6개월에 한 번은 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간염과 간암의 조기발견, 적절한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입니다. 그런데 이 검사를 병원이 아니라 보건소나 건강검진센터에서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어제는 병원에 아는 사람이 있어 검사결과만 받아 본다는 분이 연락을 주시기도 했어요. 이런 분들이 그렇게 드물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검사는 결과를 보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닙니다. 검사에 대한 의학적인 판단이 더 중요해요... 보건소와 건강검진센터에도 의사선생님이 있습니다만 이분들은 아무래도 간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소화기내과전문의보다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를 묻는 분들도 계신데요. 어떤 검사를, 얼마의 간격으로 할 것인지도 의학적 판단이 필..
전화 1. 50대로 생각되는 목소리의 남자분이 전화를 주셨습니다. 만성B형간염보유자이었는데 1년 전쯤 HBsAg이 음성이 되고 HBsAb가 양성이 되었다고 합니다. 보통 HBsAg이 음성이면 B형간염보유자가 아니고 HBsAb가 양성이면 B형간염에 면역이 있어 더 이상 B형간염보유자가 될 수 없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1년이 지난 지금 HBsAb가 다시 음성이 되어서 걱정이 되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에게 전화를 주신 이유는 HBsAb를 양성으로 만들기 위해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지, 다시 HBsAg이 양성이 될 수도 있는지를 묻기 위해서였습니다. 오랜 기간 만성B형간염보유자였던 분에서 HBsAg이 소실되거나 혈청전환 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블로그에 정리한 글이 있습니다. 2009/10/20 이명박 대통령도..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에서 간사랑동우회 총무인 저 윤구현과 몇몇 사람을 명예훼손으로 고발했다는 소식을 지난 3월 10일 알려드렸습니다. 편강세한의원에서 명예훼손으로 고발했습니다. 2010-3-10. 그후 저와 피고발인들은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을 아래와 같은 이유로 편강세한의원을 고소, 고발하였습니다. 증명되지 않은 치료법으로 환자를 유인 치료비를 편취하였기에 사기죄 객관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근거가 없는 진료행위를 하였기에 의료법위반 식약청의 허가 없이 임의적으로 환자를 모집하여 임상시험을 하였기에 약사법위반 명예훼손으로 고발 당한 것은 지난 3월 조사가 있었으며 저희가 고발한 것은 현재 조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번 주 청년의사신문은 편강세한의원(현 서울한의원)과 간사랑동우회, 코리안헬스..
시간이 좀 지나기는 했는데... 얼마전 정기적인 검사를 위해 병원을 다녀왔습니다. 모든 B, C형간염보유자와 간경변증환자는 간암조기발견을 위해 6개월에 한 번은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늘 말씀드리는데 정작 제가 그러지 않아 글을 쓰기가 뻘쭘합니다. 10개월만에 받은 검사입니다. 초음파와 AFP 검사는 10개월 만에 받았고 HBV DNA는 이보다 좀 더 되어서 1년 반 만에 받은 것 같습니다. 유랑벽이 있어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받네요... 평소 찾아뵙는 선생님들이 계셔서 그때그때 받는데요. 이번에는 우리 간사랑동우회 홈페이지에서 상담해주시는 한우식 선생님이 계신 강북으뜸내과에서 받았습니다. (강북으뜸내과는 그간 여러 차례 다녀왔습니다. 저의 집과 멀지 않은 곳에 있고 가까이 사시는 장모님이 강북으뜸내과에서..
블로그 내용 때문에 모 한의원으로부터 명예훼손으로 고발을 당했습니다. 현재 이 블로그의 몇몇 글은 그 한의원의 요청으로 차단되었습니다. 저와 함께 고발된 분들의 블로그는 차단 요청을 안했는데 서운하네요... 이 글마저 차단될까봐 그 한의원의 이름은 모두 가렸습니다. *** 한의원과의 법정 분쟁(정확히는 제와 몇몇분이 명예훼손으로 고발 당한 것입니다만)을 보고 이런 지적을 주는 분들이 있습니다. ‘치료만 되면 되는 거 아니냐, 그래도 그게 어디냐, 격려해주진 못할 망정, 한의원이라고 그러는 거 아니냐…’ 한의원이라서 그러는 것이 아닙니다. 몇 년 전 한 개원한 의사선생님이 2명의 완치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 정식 논문은 아니고 학회 포스터 발표를 통해서였습니다. 제픽스를 2-3년 정도 복용해서 s항원 음성..
- Total
- 1,042,275
- Today
- 46
- Yesterday
- 64
- 레보비르
- 헵세라
- 편강세한의원
- ING생명
- 하브릭스
- 바라크루드
- C형간염
- 대한간학회
- 손해보험
- 생명보험
- 넥사바
- 민영보험
- 제픽스
- 간염
- 세비보
- 간사랑동우회
- A형간염
- 윤구현
- 고지의무위반
- B형간염
- 아데포비어
- Nexavar
- 간경화
- 간경변증
- 항바이러스제
- 클레부딘
- 엔테카비어
- 간경변
- 간암
- 백신